
수혈 1회 비용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, 아래는 일반적인 기준에서의 수혈 비용 구성과 예상 금액을 설명해줄게:
1. 수혈 비용 구성
수혈은 단순히 피만 받는 게 아니라, 여러 항목이 포함돼서 비용이 산정돼.
① 혈액 제제 비용 (혈액 자체 가격)
- 혈액 종류에 따라 다름:
- 전혈: 거의 사용 안 됨, 응급상황에 한정
- 농축적혈구: 가장 많이 쓰임
- 혈소판 농축액: 출혈 위험 환자에 사용
- 혈장 (신선동결혈장): 응고장애 등에서 사용
예시 (대한적십자 기준, 2024년 기준):
- 농축적혈구 1단위: 약 100,000~120,000원
- 혈소판 농축액: 약 150,000~180,000원
- 신선동결혈장: 약 80,000~100,000원
② 수혈 관련 검사 비용
- 혈액형 검사 (ABO, Rh 등)
- 교차시험 (Cross Matching)
- 감염성 질환 검사 (HIV, B형 간염, C형 간염, 매독 등)
검사 비용: 30,000~60,000원 정도 추가 가능
③ 수혈 행위료 및 부대비용
- 수혈 행위 자체에 대한 의료 행위료
- 주사료, 소모품비 포함
행위료 및 부대비용: 10,000~30,000원 정도
2. 총 예상 비용 (비급여 포함 시)
항목비용 범위 (1단위 기준)
혈액 제제 비용 | 100,000 ~ 180,000원 |
검사 비용 | 30,000 ~ 60,000원 |
행위료 및 기타 | 10,000 ~ 30,000원 |
총합 | 약 140,000 ~ 270,000원 |
3. 보험 적용 여부
- 건강보험 적용 시 환자 본인부담률 20~30%
- 농축적혈구 수혈 시 실제 부담: 30,000~60,000원선
- 의료급여 대상자는 더 낮음
- 비급여 수혈(예: 자가수혈 등)은 전액 본인부담 가능
4. 변동 요소
- 병원급 vs 종합병원
- 급여/비급여 여부
- 혈액 제제의 종류 및 수량
- 응급 수혈 여부